공부하는 안씨의 기록

chapter 05. Git & Github (1) 터미널 사용법, 로컬 git 저장소 생성 본문

웹 프로그래밍/테킷 프론트엔드 온보딩 트랙(230710~230819)

chapter 05. Git & Github (1) 터미널 사용법, 로컬 git 저장소 생성

an씨 2023. 7. 18. 23:03

* 본 포스팅은 테킷 프론트엔드 온보딩트랙 강의(조경민 강사님)를 참고하였으며,

그 외의 자발적 학습 활동을 진행한 것을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깃허브 사이트에 로그인만 해두고 지금까지 정작 어떻게 쓰는지는 몰랐다.

거의 아무것도 모르는 백지 상태로 강의를 듣고 이리저리 헤매면서 정리한 내용이 많아

이번 챕터 05는 게시물을 두 개로 나누어 정리하기로 했다. 

 

|목차

chapter05.(1)

1. Git & Github의 등장과 역할

2. Git 설치 및 세팅

3. Git 동작 흐름과 구성요소

4. 로컬 Git 저장소 생성

*추가: 참고하기 좋은 사이트

chapter05.(2)

5. Github에 소스 반영

6. Github로 협업하기

7. Git GUI 활용하기

 


 

1. Git & Github의 등장과 역할

git

 

웹서비스는 여러 파일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서비스로,

우리가 알고 있던 파일 시스템으로는 안정적이고 일관성 있는 관리가 쉽지 않음

 

(예를 들어, 여러 사람들이 동일한 파일을 수정한다고 가정하면, 파일 원본의 복사본을 각각 만들고, 각각 수정하고, 수정본이 다시 수정되는 과정에서 어떤 파일을 누가 수정하였는지 불분명해진다. 또한, 파일을 덮어쓰기하는 과정에서 원본이 소실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파일 시스템으로는 웹서비스를 관리하기에 불편하다.)

 

→ SCM(Source Code Management) 의 등장

→ 저장소에 저장된 소스의 변경사항과 작업자를 추적 가능

→ SCM에 활용되는 도구: GIT, GIT HUB

 

 

2. Git 설치 및 세팅

앞에 제시된 다운로드 링크를 통해 Git을 설치해주고,

V (NEW!) Add a Git Bash Profile to Windows Terminal

다운로드 과정에서 터미널 추가 관련 설정을 해주었다.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cmd 창을 활용해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고, 세팅해준다.

세팅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cmd 창

윈도우키+R

윈도우키 + R 을 눌러 위와 같은 창에서 cmd 창을 열 수 있다.

확인을 눌러 cmd 창을 열자.  

그 후 위 캡처화면의 Git Bash를 누른다.  

 

(2) git bash 오픈

앞의 과정을 잘 이행하였다면 위와 같은 창이 생성될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윈도우 터미널에서 Git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창에서 아래의 (3)~(6)에서 설명하는 명령어를 바로 입력해볼 수 있다.

 

(3) 명령어 입력: 버전 확인

 

$ git --version

 

(4) 명령어 입력: user name 설정

 

$ git config --global user.name "(사용할 닉네임)"

 

(5) 명령어 입력: user email 입력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사용할 이메일 주소)"

 

(6) 명령어 입력: 설정 내용 확인

 

$ git config --list

 

위 명령어 사용 시

user.name=(4)에서 설정한 닉네임

user.email=(5)에서 입력한 이메일 주소
를 확인할 수 있다. 

 

3. Git 동작 흐름과 구성 요소

사진출처: 테킷 프론트엔드 온보딩트랙 강의자료

  • Working Directory: 현재 작업 중인 프로젝트가 위치한 디렉토리
  • Staging  Area: commit 할 파일의 예비 저장소
  • 로컬 저장소(Local Repository): 내 PC에 파일이 저장되는 개인 전용 저장소(각 컴퓨터의 git이 관리하는 로컬 저장소)
  • 원격 저장소(Remote Repository): 파일이 원격 저장소 전용 서버에서 관리되며 여러 사람이 함께 공유하기 위한 저장소(github등 외부에 위치한 원격 저장소)
  • 평소에는 내 PC의 로컬 저장소에서 작업하다가 작업한 내용을 공개하고 싶을 때에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
  • 그와 동시에 원격 저장소에서 다른 사람이 작업한 파일을 로컬 저장소로 가져올 수도 있다.

 

4. 로컬 Git 저장소 생성

| 준비 : 터미널 명령어 기능을 사용하기 전에, 바탕화면에 test 폴더를 생성하고,

  폴더 안에 test.txt 라는 텍스트 문서(내용: Hello!)를 생성한다. 그 후, 해당 폴더 화면에서 우클릭 하고, 터미널 창을 연다.

 

(1)  .git 폴더 초기화

$ git init

위와 같이 바탕화면의 test 폴더 안에 .git 폴더가 생성되었으며.

.git 폴더가 초기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git 폴더는 숨김 폴더이므로 따로 설정하지 않으면 폴더에서 숨겨져 보이지 않는다.) 

$ ls -al

또한 위와 같은 명령어를 통해 test 폴더 안의 파일을 확인해볼 수 있다.

 

(2) .gitignore 파일 생성

 

폴더 자체에서 파일을 다루는 것 보다 앞에서 언급한 Visual Code(=VS Code)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편리하다. VSCode에서 test 폴더를 open 후, .gitignore라는 파일을 생성한다.

.gitignore 파일 안에는 git을 통해 명령어 적용의 대상이 되는 것을 무시할(ignore) 파일명을 적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방금 만든 test폴더에 test2.txt , test3.txt 파일을 추가하고,

위와 같이 .gitignore 파일에 해당 파일명을 적어두면 git 명령어를 사용할 때 해당 test2.txt 파일과 test3.txt 파일에는 명령이 적용되지 않는다. (이때 파일의 구분은 enter)

 

(3) 버전 관리에 '반영'할 파일을 지정

$ git add .
$ git add "<파일명>"

 

(4) staging area에 어떤 파일이 있는지 확인

$ git status

(3), (4)에서의 명령어를 적용하면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온다. status를 통해 new file : test.txt 라는 정보를 얻었다. 

이때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test.txt 파일을 제거해보자. 

$ git rm --cached test.txt

위와 같이 test.txt 파일을 제거하니 status 명령어를 사용하였을 때 test.txt 파일이 제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5) 로컬 저장소에 변동 기록(=버전)을 남기는 commit

$ git commit -m "<message>"

commit 명령어를 통해 변동된 흔적을 <message>로 기록할 수 있다.

위에서는 "the first commit"라는 이름으로 변동 사항에 대해 기록하였다. 

 

(6) 동일한 저장소 내의 소스에 대해 서로 영향받지 않는 독립적 공간 branch

$ git branch -M main

-> 현재 위치한 branch를 main으로 변경


마지막으로, 

$ git log

위와 같이 해당 명령어로 test 폴더에서 git 명령어를 통해 남긴 변동 사항을 기록한 흔적이 남아있다. 

 

 

다음 chapter05.(2) 포스팅을 통해 이 명령어의 적용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더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추가: git 공부 시 참고하기 좋은 사이트

 

5. Github에 소스 반영

6. Github로 협업하기                      - > chapter 05. (2) (링크 바로가기)

7. Git GUI 활용하기